NFT ETH 공부

크립토 크리에이터 시작을 위한 지침서 #1

진저앤프레디 2022. 9. 1. 17:02
728x90
반응형

진저앤프레디:

크립토 크리에이터 시작을 위한 지침서 #1

앞으로 크립토는 모든 크리에이터들의 핵심이 될거라는 말이 많습니다.

오늘날 기술 제품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AI에 의존하는 것처럼요.

하지만.

아직 많이 일러요.

이릅니다. (아니 이르다고 아직 말들하고 있습니다)

=> 아직 늦지 않았다는 말....?

.

.

.

* 여기서 #크리에이터 라 함은,

디지털 플랫폼에서 자신의 것을 만드는 모든 종류의 사람을 말한다:

작가, 인플루언서, 디지털 아티스트, 디지털 뮤지션, 팟캐스트M, 온라인 티칭 등

오늘 포스팅에서는 크립토에 진입하는

모든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TIP들을 모아모아 와봤습니다.


크립토를 사용하여

크리에이터들이 더 강력한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

TIP #1. 내가 진입하려는 시장에 적합한 작품을 제작해야 한다.

크리에이터 1인 1인은 모두

"미니 스타트업" 입니다.

틈새 시장에 집중하고, 나의 대중들이 원하는 것을 이해해야 하고요. (TAM SAM SOM #탐쌈쏨)

(TAM SAM SOM #탐쌈쏨)

또 그사람들이 좋아할만한걸 만들어야 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방법도 찾아야 하죠.

#스타트업 에서 "시장에 적합한 제품" 이라는 개념은 성장의 열쇠로 여겨지곤 하는데요.

이 시장 적합 제품은 ->

행복한 고객,

새로운 고객,

그리고 "수익" 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

고리를 만들게 됩니다.

컨텐츠 & 비즈니스 모델 & 오디언스(대중) 의 교집합 점을 찾아야 한다.

컨텐츠: 내가 즐기면서 만들고 있는가?

비즈니스 모델: 수익을 내고 있는가?

오디언스: 대중들이 원하는 것을 만드는가?

이 3 질문에 대한 답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

.

.

.

모든 크리에이터들은 "성장" 에 초점을 맞추기 전에,

나의 시장 적합성을 찾는 것을 우선시 해야 합니다.

-> 그래야 저 지속 가능하게 작품활동이 이뤄질 수 있을테니까요.

그리고 크리에이터로서의 시장 적합성을 찾았을 때,

그때 크립토 시장에 들어가게 되면 "성장" 을 할 수 있다는 것.

왜냐면 크립토는 성장을 위한 강력한 도구이기 때문.

TIP #2. 크립토를 수익화 도구로 사용하자.

위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내가 이미 시장에서의 위치를 찾았다면(수익을 낼 수 있다면)

이 비즈니스를 지속가능하게 하기 위해 크립토를 시작해보겠습니다.

크립토는 4가지 영역에서 크리에이터들을 도울 수 있는데요,

1> 자금 조달: 내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위해 자금 조달이 가능.

2> 대중 인식: 커뮤니티의 새 멤버들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음.

3> 고객 참여: 기존 고객들이 더 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4> 수익화: 돈을 더 벌 수 있음.

.

.

.

물론 쉽지 않습니다.

크립토는 거의 미니 국가(?) 를 건설하는 것에 가까워요.

#심시티 ...?

.

.

.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통화체계, 법, 정부, 지배구조, 재화와 서비스, 시장, 시민 등 정말 많은 것이 필요하잖아요.

크립토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이런 각 요소로 자신만의 경제국가를 구축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여기서 중요한건,

여느 스타트업과 마찬가지로,

크리에이터들도

"작게 시작해야", 하고,

더 중요한건

"스마트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죠.

뭐 거두 절미하면 일단 수익화가 되어야 기업입니다.

.

.

.

기존의 WEB2 는,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가 많죠.

아니면 기업의 스폰서쉽.

이 2가지가 주요 수익창출 베이스 입니다.

.

.

.

NFT는 이외 새로운 수익화 채널을 제공하는데요,

소비자들의 "관심" 을 수익화 하는 대신에,

"소유권" 을 수익화한다는 것.

단 한사람의 소유자만이 있을 수 있는 것 =: 그것이 바로 'NFT'

슈퍼 팬들은 자신의 아이돌(?)의 디지털 상품을 진정으로 소유할 수 있기에,

NFT를 구입합니다.

EX) 옷장에 한정판 나이키 신발을 고이고이 모셔놓는 것과 같은 원리.

내가 합법적으로만 구매하면,

아무도 내것을 빼앗아 갈 수 없어요. 내거거든요.

마찬가지로,

NFT는 이제 디지털 네이티브 형태의 "재산권"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점점 더 많은 인프라가 구축됨에 따라,

NFT는 단순한 소유를 넘어 다른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에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크리에이터들은 결국 이 시장의 발전에 따라

전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점점 고안해낼 것이 분명하다.


현재 시간 기준(2022.04.01) 으로

크리에이터들이 NFT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몇가지 방법:

1> '한 사람' 에게만 내 작품을 판다.

이 비즈니스 모델이 작동하려면,

진정한 팬.

딱 1명만 있으면 됩니다.

.

.

.

하지만 동시에,

이건 엄청난 단점으로 이어집니다.

주인이 한명 밖에 없잖아요.

이런 경우는 커뮤니티를 만들기가 힘들죠.

2> 제한적 NFT공급 + 리워드

이 모델은 사실 아직 충분이 연구되지 않은 것 같아요.

#3LAU 가 정말 좋은 예라고 생각하는데요.

https://twitter.com/3LAU?ref_src=twsrc%5Egoogle%7Ctwcamp%5Eserp%7Ctwgr%5Eauthor

 

3LAU (@3LAU) / 트위터

cofounder @join_royal 💎 I also make dance music

twitter.com

 

 

이 모델은 NFT출시 후 비딩하는 사람들에게 리워드를 제공한다는 것.

이렇게 되면 더 여러사람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져

커뮤니티를 더 풍성하게(?) 만들어 낼 수 있겠죠.

.

.

.

특히 이 모델은,

앨범, 책, 영화 등 대형 크리에이티브 프로젝트를 출시할 때

가장 잘 작동하는 것 같네요.

3> NFT 토큰 분할

이 모델이 언젠가는 이 시장을 지배하는(?) 모델이 될 거 같다는 의견들이 많습니다.

.

.

.

이 모델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하나의 NFT 에 여러 토큰을 적용시켜 구매할 수 있게하는 것.

= 내 NFT를 많은 사람이 소유하게끔 하는 것.

즉, 독점적 소유는 불가능.

커뮤니티를 빌딩하기 아주 적합한 모델이죠.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내가 만들고자 하는 커뮤니티의 유형에

어떤 것이 적합한지 꽤 많은 실험을 해봐야 할 거 같네요.

.

.

.

이렇게 NFT를 통해 수익화를 내기 시작했다면,

다음 단계는,

커뮤니티 거버넌스(통치 관리) 가 되겠습니다.

4> 탈중앙화된 거버넌스를 통해 커뮤니티 참여율을 높여요.

"탈중앙화"

는 크립토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기능입니다.

보통 현 시점에서 크리에이터와 커뮤니티의 관계는 다소 일방적이죠.

작가라면 글을 쓰고 컨텐츠를 개시하고 독자는 이를 소비하는 식.

그러나 크립토 네트워크는 달라요.

크리에이터가

수익을 어떻게 배분할지,

어떤 사람과 함께 갈것인지,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인지,

주요 결정에 커뮤니티 멤버들이 모두 참여합니다.

즉,

공/동/창/작

이라고 부를 수도 있음.

이런 유형의 "공동 창작"은 장기적으로

더 강력하고 끈끈한(?) 커뮤니티를 빌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지금까지 크립토가 크리에이터들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았는데요,

크립토 세계는 정말 매력적인 기술 중 하나인 것 같아요.

거의 10년동안 이 세계는 작고 귀여운 과학 실험(?) 에서

실제로 세상을 지배할 수 있을 거 같은 믿음에 까지 도달하게 되었는데요.

다음 10년 이후에는 우리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 확실히 될 것 같아요.

필수적인 부분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실/용/성 (수익 창출이 가능한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

.

.

결론:

10년동안 크립토를 응원해왔든,

지난 주에 메타마스크를 다운로드 받았든 간에..

재밌는 세계인 것은 확실하다.

끝.

출처: Tips for creators getting into crypto, 4/1, 2021

https://p.mirror.xyz/WQQywdjjfnksMRPMaNKBMxPBqfE5k8nL6pCLe1roGyw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