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저앤프레디:
NFT공부: 크립토 머니 투자하는 법.

크립토 시세에 상관없이, 정기적으로
일정금액으로 투자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
.
.
주식에도 이런 투자법은 똑같이 존재하는데요,
이걸 크립토 머니에 어떻게 접목시켜볼 수 있을까?
하는 글.
.
.
.
물론 어렵다. 매우 어렵다. 초보자에겐 너무 어렵다.
뭐든지 시작할때는 훈련 훈련 훈련
운동 처음 시작할때처럼 공부도 훈련 훈련 훈련
P.S. 누군가 나에게 "비트코인" 언제 사면 좋을까? 라고 물어보면,
이 블로그 링크를 전달해주자.

일단 크립토 머니를 사야겠죠.
그런데 언제 사야 하죠?
- 하락장에 사세요.
- 차트를 읽으세요.
- 들어갈 타이밍을 노리세요.
- 지금이에요
.
.
.
주식 관련 글에서 많이 보는 말들이죠?
크립토 머니는 이렇게 접근하면 NONONONONONONONONO.
.
.
.
<라이언 션 애덤스가 추천하는 크립토머니 투자법>
1> 일단 내가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는 적정선의 투자금을 정한다: EX) 900백만원이라고 친다면,
2> 구매 빈도와 기간을 정한다. EX) 1주에 한번씩 구매한다.
3> 시세 상관하지말고 정한 스케쥴대로 매수한다. (포기하지 않는다)
EX) 일요일 오후 8시는 비트코인 구매 하는 날. 일주일에 1번씩 ETH(이더리움), BTC(비트코인) 을 산다.
매주 일요일 18만원 정도씩을 매수. 이걸 한 52-5주 정도 반복한다.
그럼 연말까지 9백만원 정도의 투자 가능.
=> 이 투자 방법을 추천하는 이유:
1년 내내 52주의 일요일을 합친 평균가에 매수한 꼴이 되는 것.
너무 싸게 사지도 않고, 너무 높게 사지도 않을 것임.
변동성의 영향을 줄인 투자법. 내가 사용한 금액은 좋은 평균가가 될 것이다.
2. 변수 변경 가능합니다.

물론 금액, 기간, 빈도는 자신이 원하는대로 설정이 가능하죠.
(아마 본인의 순자산에 따라서 달라지겠죠...)
금액:
리스크를 줄이고 싶다면 내 자산의 1-5% 정도만 투자.
평균적인 리스크를 갖고 간다면 5-20%.
난 YOLO다. 리스크에 올인한다. 50% 이상.
기간:
기간에는 완벽한 답이 없다.
그러나 3개월 미만의 단타는 아마 효과가 없을 것으로 예상.
암호 화폐 변동 주기가 점점 길어지고 있으므로 지금 시작하는 경우(2019년 기준)
12개월 정도읙 기간이 적당.
빈도:
빈도는 주별도 좋고, 월별도 좋고, 심지어 매일도 좋고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결정.
3. 내 월급의 일정량으로 투자해봐도 좋다.

꼭 한번에 모든 것을 구매할 필요 없잖아요.
월급에서 일정량을 투자의 개념으로 떼어 구매하면 더 쉽게 접근 가능하다.
4. 더욱 쉽게?

결론:
그냥 앱 내에서 매주 구매로 설정해놓고 잊어버리고 있는게 가장 좋은 방법일듯.
계속 차트 들여다보며 마음 쓰지 않아도 되니깐요.
단순한 방법이지만, 프로들은 이 투자 방법을 많이들 사용한다고 하네요.
이 투자 방법의 가장 어려운 부분은 STICK TO THE PLAN(계획을 고수하는 것).
단점은 시장의 변동성과 변화에 대응 불가.
BUT,
순간의 나의 감정을 믿지 말라는 명언을 남기며,
끝.
출처: Bankless, How to dollar-cost average into crypto by Ryan Sean Adams, Sep 10, 2019
https://newsletter.banklesshq.com/p/how-to-dollar-cost-average-into-crypto?s=r
'NFT ETH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립토 용어집 제 1탄: #크립토그래피 (0) | 2022.07.22 |
---|---|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그것: NFT (0) | 2022.07.21 |
DeFi (디파이) 어떻게 시작하는건가요? (0) | 2022.05.31 |
NFT, 이거 내가 진짜로 소유하고 있는 걸까요?! 가능성은.... (0) | 2022.04.29 |
NFT공부해보아요: #디지털아트 로 돈버는 방법: 제 3탄 (0) | 2022.04.27 |